노경우 대전종로학원 국어강사
노경우 대전종로학원 국어강사
현대시의 감상을 묻는 문제는 <보기>가 반드시 주어진다. <보기>에는 작품의 이해를 돕는 설명이 있기 때문에 본문 작품을 읽기 전에 <보기>부터 읽으면 본문을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문제를 풀 때는 <본문>과 <보기>의 서술어를 비교해서 서술어 내용의 일치 여부를 따진다. 이때 <본문>의 작은 따옴표(` `)로 묶은 어휘에 주목하고 작은 따옴표 주변의 수식어나 서술어와 <보기> 설명의 서술어를 나란히 놓고 비교하며 적절성 여부를 따지면 된다. 다음은 2022학년도 6월 수능 모의평가 국어영역 34번 문제이다. <보기>가 주어진 상태에서 <본문>시의 감상 내용을 묻고 있다. 노경우 대전종로학원 국어강사

<본문>

------------------------------------

(가)

무너지는 꽃 이파리처럼

휘날려 발 아래 깔리는

서른 나문 해야

구름같이 피려던 뜻은 날로 굳어

한 금 두 금 곱다랗게 감기는 연륜(年輪)

갈매기처럼 꼬리 떨며

산호 핀 바다 바다에 나려앉은 섬으로 가자

비취빛 하늘 아래 피는 꽃은 맑기도 하리라

무너질 적에는 눈빛 파도에 적시우리

초라한 경력을 육지에 막은 다음

주름 잡히는 연륜마저 끊어버리고

나도 또한 불꽃처럼 열렬히 살리라

- 김기림, `연륜` -

(나)

제 손으로 만들지 않고

한꺼번에 싸게 사서

마구 쓰다가

망가지면 내다 버리는

플라스틱 물건처럼 느껴질 때

나는 당장 버스에서 뛰어내리고 싶다

현대 아파트가 들어서며

홍은동 사거리에서 사라진

털보네 대장간을 찾아가고 싶다

풀무질로 이글거리는 불 속에

시우쇠처럼 나를 달구고

모루 위에서 벼리고

숫돌에 갈아

시퍼런 무쇠 낫으로 바꾸고 싶다

땀 흘리며 두들겨 하나씩 만들어 낸

꼬부랑 호미가 되어

소나무 자루에서 송진을 흘리면서

대장간 벽에 걸리고 싶다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이

온통 부끄러워지고

직지사 해우소

아득한 나락으로 떨어져 내리는

똥덩이처럼 느껴질 때

나는 가던 길을 멈추고 문득

어딘가 걸려 있고 싶다

- 김광규, `대장간의 유혹`

------------------------------------

34. <보기>를 참고하여 (가), (나)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 기>---------------------------

시인은 결핍을 느끼는 상황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삶을 성찰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연륜`은 축적된 인생 경험에서, ?대장간의 유혹?은 현대인이 추구하는 편리함에서 결핍을 발견한 화자를 통해 일상에서 경험하는 것들이 재해석된다. 두 작품은 결핍된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구심점으로 삼아 시상을 전개한다.

------------------------------------------------------

① (가)에서 `서른 나문 해`를 `초라한 경력`으로 표현한 것은, 화자가 자신이 살아온 인생을 변변치 않은 경험으로 재해석한 것이겠군.

② (가)에서 `불꽃`을 긍정적인 이미지로 표현한 것은, `주름 잡히는 연륜`에 결핍되어 있는 속성을 끊을 수 있는 수단이라는 의미로 재해석한 것이겠군.

③ (나)에서 지금은 사라진 `털보네 대장간`을 `찾아가고 싶다`고 표현한 것은, 일상에서 결핍된 가치를 찾고자 하는 화자의 열망을 공간에 투영한 것이겠군.

④ (나)에서 `가던 길을 멈추고` `걸려 있고 싶다`고 표현한 것은, 화자가 추구하는 가치를 표상하는 사물의 상태가 되고 싶다고 진술함으로써 결핍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겠군.

⑤ (가)에서 `육지`를 지나간 시간을 막아 둘 공간으로, (나)에서 `버스`를 벗어나고 싶은 공간으로 표현한 것은, `육지`와 `버스`를 화자가 결핍을 느끼는 공간으로 재해석한 것이겠군.

이 문제의 정답은 ②번이다. (가)의 `주름 잡히는 연륜`은 <본문>의 `피려던 뜻`이 굳어 이루어진 것과 <보기>의 `축적된 인생 경험에서 결핍을 발견한 화자`로 볼 때, 높은 뜻을 이루지 못한 채 활력을 잃고 나이만 먹는 화자의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불꽃`은 초라하고 덧없는 삶을 버리고 자신의 뜻을 펼치기 위한 열렬하고 열정적인 삶의 태도를 의미하며 `연륜`에는 `불꽃`과 같은 열렬함이 결핍되어 있다. 따라서 `불꽃`이 `연륜`에 결핍돼 있는 속성을 끊을 수 있는 수단이 아니라 오히려 채워 넣어야 하는 요소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오답들을 살펴 보면, ①번은 <보기>에서 (가)는 인생 경험에서 결핍을 발견한 화자를 통해 일상에서 경험하는 것들이 재해석된다고 했다. 따라서, (가)의 `서른 나문 해`는 화자가 지금까지 살아온 시간을 의미하는데, 화자가 이를 `초라한 경력`이라고 표현한 것은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삶이 초라하고 변변치 않다고 단호하게 부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③번은 <보기>에서 (나)는 현대인이 추구하는 편리함에서 결핍을 발견한 화자를 통해 일상의 경험이 재해석되고, 결핍된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드러낸다고 했다. 따라서, (나)에서는 도시 문명에서 화자 자신이 가치없게 느껴지는 순간, 지금은 사라진 `털보네 대장간`을 찾아가고 싶다고 말한다. 이는 자신의 참된 가치를 찾고자 하는 화자의 열망을 공간에 투영했다고 볼 수 있다.

④번은 <보기>에서 (나)는 결핍된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구심점으로 삼아 시상이 전개된다고 했다. 따라서, (나)의 화자는 `가던 길을 멈추고` 어딘가 `걸려 있고 싶다`고 했는데, 화자가 되고 싶다고 한 사물들은 `무쇠 낫`이나 `꼬부랑 호미`이다. 이는 화자가 추구하는 참된 가치를 상징하는 소재이기 때문에 `걸려 있고 싶다`는 결핍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화자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⑤번은 <보기>에서 (가)와 (나)의 화자가 결핍을 발견하고 일상에서 경험하는 것들을 재해석한다고 했다. (가)에서 새 삶을 살기 위해 `섬`으로 가려는 화자가 그전에 `육지`에 초라한 경력 즉, 지나간 변변치 않게 살아온 시간을 막아두겠다고 했다. (나)에서 자신이 `플라스틱 물건`과 같이 무가치하다고 여긴 화자는 당장 `버스`에서 뛰어내리고 싶다고 하고 있다. 이처럼, (가)의 `육지`와 (나)의 `버스`는 화자가 결핍을 느끼는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