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선 공약에 반영할 충청권 주요 현안이 무엇인지 얼개가 나왔다. 세종시가 어제 행정수도 완성을 포함해 3개 분야 16개 세부 사업을 선정했고, 충남도는 금강하구 생태복원 등 9개 분야 84개 과제를 발굴했다. 대전시는 이달 초, 충북도는 이달 중순 이미 각 정당의 대선 후보에게 대선 공약으로 건의할 현안과 제도개선 과제를 내놓았다. 충청권 4개 시도가 제시한 과제는 대선후보 캠프에 전달돼 논의 과정을 거쳐 대선 공약으로 최종 확정된다.

충청권 지자체가 마련한 대선 과제들은 어느 것 하나 빼놓을 수 없이 중요한 사업들이다. 대전시는 `과학수도 대전` 지정과 충청권 메가시티, 대전도심 구간 경부·호남선 지하화 등 굵직굵직한 현안을 제시했다. 세종시는 세종의사당 조속 건립, 대통령 세종직무실 설치, 미이전 중앙행정기관 이전 등 행정수도 완성에 초첨을 맞췄다. 충남도는 천아평(천안-아산-평택) 순환철도 구축, 제2 서해대교 등 대형 건설사업은 물론 저출산·고령화·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책들도 내놓았다. 충북도는 강호축 중심의 충북 건설을 내걸었다. 고속교통망 구축, 첨단 신산업 생태계 조성, 남북무예교류 활성화 지원 등을 추진해 국가균형발전의 중심축을 완성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충청권 4개 시도의 대선 과제들을 살펴보면 들어내야 할 게 하나도 없다. 이대로만 된다면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지역 발전을 10-20년 앞당길 수 있는 내용들이다. 충청권 4개 시도가 공동 추진하는 메가시티만 보더라도 대한민국의 균형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다. 대전-세종-청주를 잇는 충청권 메가시티는 수도권 집중을 견제하고 부·울·경을 연결하는 동남권 메가시티에도 대응할 만하다.

충청권은 이제 이런 지역 현안들을 대선 공약에 꼭 반영해야 한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듯 공약에 포함되지 않으면 공염불로 끝날 수 있다. 강호축 특별법 제정에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대통령 직무실 설치까지 모두 `대선 공약화`라는 통과의례를 거쳐야 한다. 만약 공약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대선 이후 국가정책 반영도 어렵게 된다. 충청의 민·관·정이 모두 나서 지역 현안을 대선 공약화하는데 힘을 보태야 할 시기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